728x90
반응형
단일 처리기 시스템 (Single-Processor System) → 과거
- 대부분 시스템은 하나의 처리기를 사용
- 범용 CPU가 하나 있는 시스템을 ‘단일 처리기 시스템’ 이라 함
다중 처리기 시스템 (Multi-Processor System)
- 밀접한 통신을 하는 둘 이상의 처리기들을 가지며, 컴퓨터 버스, 클록, 때로는 메모리와 주변장치를 공유
- 장점
- 증가된 처리량(Throughput): 작업 속도의 증가
- 규모의 경제: 비용 절약(경제성)
- 증가된 신뢰성: 한 처리기의 고장이 시스템 정지를 의미하지 않음
다중처리기 시스템 구성
- 비대칭 다중처리 (Aysmmentic Multiprocessing)
- 하나의 ‘주(Marster)처리기'가 시스템 전체를 제어
- 대칭적 다중처리 (SMP: Symmentic Multiprocessing)
- 일반적인 다중처리기 구성 형태
- 각 처리기가 운영체제를 동시행 수행, 각자의 작업 수행
- 모든 처리기가 대등함
최근 CPU 설계 경향
- 다중코어 CPU: N개의 처리기를 가진 시스템 (칩 레벨 멀티프로세서, CMP)
- 블레이드 서버(Blade Server): 여러 독립적인 다중처리기 시스템으로 구성
클러스터형 컴퓨터 (Clusted System)
저장장치를 공유하고, LAN이나 Infiniband와 같은 고속의 근거리 통신망으로 연결된 시스템
- ‘병렬 처리’나 ‘부하 분산’ 및 ‘고장 대비’ 등의 목적에 사용
- 두 개 이상의 독자적 시스템이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서, ‘다중처리기 시스템’과 차이가 있음
- → 메모리를 공유하지 않음
- 높은 ‘가용성’(Availability) 및 ‘신뢰성’ 제공
- 최초의 클러스터형 시스템은 ‘베오울프’
클러스터형 시스템의 구성 형태
- 비대칭성 클러스터링 (Asymmentic Clustering)
- 대칭형 클러스터링 (Symmentic Clustering)
- 병렬 클러스터
- WAN을 이용한 클러스터링
728x90
반응형
'Computer Science > Operating Syste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OS] 운영체제에서의 자원 관리 (0) | 2024.04.23 |
---|---|
[OS] 운영체제에서 가장 중요한 '다중프로그래밍 (Multi-programming)' (0) | 2024.04.22 |
[OS] 입/출력 구조 (I/O Structure) (0) | 2024.04.21 |
[OS] 저장장치 구조 (Storage Structure) (0) | 2024.04.21 |
[OS] 인터럽트란? 인터럽트 과정은? (0) | 2024.04.17 |